div tag
이번 시간에는 div태그에 대해서 배워 보도록 합시다 .
div태그는 예전에는 레이어를 만들때 주로 사용 한답니다. html코드를 작성할때 사용하고 CSS로 그 효과를 입히게 되죠.
또한 레이아웃을 잡을때도 사용합니다. header, container, content, footer 등등 이요. 뭔지 모르시겠죠. 이러한 것들이 있는데
레이아웃 한번 보도록 하죠.
I am header
I am content1
I am content2
I am content3
right
I am footer
div태그를 이용하여 위와 같은 레이아웃을 만듭니다.
하지만 div태그만으로는 위의 레이아웃은 만들어지지 않고요. 스타일 시트라는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.
저위의 레이아웃의 소스는 아래와 같습니다.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 />
<title>div 태그 학습</title>
</head>
<body>
<div>
<div>
<p>I am header</p>
</div><!-- header -->
<div>
<div>
<div>
<p>I am content1</p>
</div><!-- content1 -->
<div>
<p>I am content2</p>
</div><!-- content2 -->
<div>
<p>I am content3</p>
</div><!-- content3 -->
</div>
<div>
<p>right</p>
</div>
</div><!-- container -->
<div>
<p >I am footer</p>
</div><!-- footer -->
</div>
</body>
</html>
단지 div태그와 p태그가 있을 뿐입니다. 저기에 스타일시트를 적용하면 저렇게 레이아웃을 짠다든지 할 수 있습니다.
p태그에 대해서 설명을 안했네요.^^
p 태그는 텍스트를 쓰는 태그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. paragraph의 p라고 알고 있습니다.
하나로 묶고 싶은 텍스트가 있다면 <p> 안녕하세요 </p> 이런식으로 쓰시면 됩니다.^^
위의 코드는 예전 방식으로 지금은 저렇게 레이아웃을 만들지는 않아요.
예전에는 저렇게 대부분의 레이아웃을 div태그로 구성했습니다. 지금은 header영역은 header태그를 사용하며,
footer영억은 footer태그를 사용합니다.
그럼 이제부터 header, footer태그등에 대해 알아봅시다.